Hyeyeon .Chung
Exhibition: Facing 마주하다 展
시 승격 60주년을 맞이하여 기획된 의정부미술도서관 <마주하다> 展은 의정부시 문화적 자산과 동시대 작가들의 시선에 담긴 의정부의 삶과 기억, 문제 등을 조명하고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지역의 다양한 모습을 의정부미술도서관을 통해 시민들과 함께 마주하고자 한다.
1963년 양주로부터 분리되어 시 승격을 이룬 의정부시는 남쪽은 서울, 북쪽은 양주, 동쪽은 남양주시와 밀접하게 위치하며 경기 북부의 중심으로 자리 잡고 있다. 과거 한반도의 중심에 위치한 의정부시는 예부터 군사적 요지로서 역할을 담당했을 뿐 아니라, 최근까지도 군사도시의 이미지로서 주한 미군이 가장 많이 주둔하던 곳이기도 했다. 이러한 문화적 배경으로부터 부대찌개와 같은 음식이 탄생하기도 하였고, 기지촌과 같은 특수한 문화가 자리 잡기도 하였다. 최근 미군 기지의 이전이 시작되며, 의정부시는 새로운 변화와 가능성을 모색하고, 군사 도시의 이미지 탈피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의정부의 발전을 위한 시민들의 목소리와 지역의 문제가 맞닿은 발설은 지역과 주민 사이의 간극을 들춰내며 우리 주변을 성찰하고 의정부의 미래를 위한 포석을 이룬다. 이처럼 사회 구성원의 다채로운 시각과 목소리는 지역의 발전을 이룩하며, 더 나은 지역 사회를 만들어 내고 있다. 이번 전시는 의정부의 지역 작가들로부터 우리의 삶에 직간접으로 미치고 있는 지역의 서사와 문제, 태도 등을 예술을 통해 나열한다. 참여 작가들은 의정부가 고향이거나 의정부로 이주하며 살고 있는 시민들이다. 이들은 저마다의 방식으로 마주한 의정부를 회화, 영상, 설치, 아카이브 등으로 담아낸다. 이렇게 발화된 이들의 이야기는 지역의 정체성, 역사성, 개인과 사회의 흔적에 대한 기록이며, 과거로부터 이어온 의정부의 역사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 대한 발언이도 하다. 전시를 감상하며 각각의 작가가 지닌 생각을 시민들과 함께 사유하고, 시 승격 60주년의 기쁨과 지역사회의 미래에 대하여 함께 이야기하고자 한다.
Original text in Korean: Exhibition preface and information
Participating as a writer in the Uijeongbu Art Library's special exhibition while residing in England presented a unique set of challenges and rewarding experiences. The exhibition, held in the culturally rich Korean military city of Uijeongbu, marked the 60th anniversary of the city's promotion and aimed to illuminate its cultural assets. The theme, centered around "展," sought to explore the lives, memories, and challenges of Uijeongbu through the eyes of contemporary artists, while fostering a deeper connection with the community.
Coordinating from abroad was not easy. The time difference and distance made communication and scheduling particularly challenging. Balancing my responsibilities in England with the demands of the exhibition required meticulous planning and flexibility. However, the dedication and support of the exhibition team in Uijeongbu were instrumental in ensuring that everything ran smoothly. Despite these logistical hurdles, the experience was immensely rewarding.
The exhibition itself was a profound celebration of Uijeongbu's heritage and cultural identity. It provided a platform for artists to reflect on and reinterpret the city's landscape and history. The artwork displayed ranged from visual art to multimedia installations, each piece offering a unique perspective on Uijeongbu's evolution and its significance in the contemporary context. The gallery, located within the Uijeongbu Art Library, served as a perfect venue, blending the realms of art and knowledge.
One of the most notable aspects of the exhibition was its engagement with the local community. By showcasing works that delved into the city's collective memories and current issues, the exhibition encouraged citizens to reconnect with their surroundings and view their city through a new lens. This interaction between the artwork and the audience fostered a sense of communal reflection and dialogue, reinforcing the exhibition's impact.
The exhibition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from Korean media, highlighting its success and the public's interest. However, this exposure also brought moments of introspection regarding the influence of media on my work. While the coverage was positive and contributed to the exhibition's visibility, it also made me ponder the extent to which media shapes public perception and the true essence of artistic expression.
In summary, my participation in the special exhibition at the Uijeongbu Art Library was a voyage filled with obstacles and successes. Contributing to an occasion that honored Uijeongbu's diverse cultural heritage and encouraged deep introspection among its populace was an honor. The exhibition's relevance was emphasized by its effective execution and significant media attention, despite the challenges of international coordination. It also provided me with unique insight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community, and media.